21대 대통령 임기 기간
🔰21대 대통령 선거
📅21대 대통령 임기
🔹2025년 6월 4일 ~ 2030년 6월 3일(5년)
🔹2025년 6월 4일 ~ 2030년 6월 3일(5년)
📅제 21대 대통령 선거 일정
🔸후보자 등록: 2025년 5월 10일 ~ 11일
🔸선거 운동 기간: 2025년 5월 12일 ~ 6월 2일
🔸재외 투표: 2025년 5월 20일 ~ 25일
🔸사전 투표: 2025년 5월 29일 ~ 30일 (매일 06시부터 18시까지)
🔸본 투표일: 2025년 6월 3일 (06시부터 20시까지)
🔸당선자 확정: 2025년 6월 4일
📅21대 대통령 임기
🔹2025년 6월 4일 ~ 2030년 6월 3일(5년)
🔸후보자 등록: 2025년 5월 10일 ~ 11일
🔸선거 운동 기간: 2025년 5월 12일 ~ 6월 2일
🔸재외 투표: 2025년 5월 20일 ~ 25일
🔸사전 투표: 2025년 5월 29일 ~ 30일 (매일 06시부터 18시까지)
🔸본 투표일: 2025년 6월 3일 (06시부터 20시까지)
🔸당선자 확정: 2025년 6월 4일
📅21대 대통령 임기
🔹2025년 6월 4일 ~ 2030년 6월 3일(5년)
대통령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재임 기간 |
---|---|---|---|
이승만 | 1948.07.24 | 1960.04.27 | 11년 10개월 25일 |
윤보선 | 1960.08.12 | 1962.03.22 | 1년 7개월 11일 |
박정희 | 1963.12.17 | 1979.10.26 | 15년 10개월 9일 |
최규하 | 1979.12.06 | 1980.08.16 | 8개월 10일(255일) |
전두환 | 1980.08.27 | 1988.02.24 | 6년 9개월 27일 |
노태우 | 1988.02.25 | 1993.02.24 | 5년 |
김영삼 | 1993.02.25 | 1998.02.24 | 5년 |
김대중 | 1998.02.25 | 2003.02.24 | 5년 |
노무현 | 2003.02.25 | 2008.02.24 | 5년 |
이명박 | 2008.02.25 | 2013.02.24 | 5년 |
박근혜 | 2013.02.25 | 2017.03.09 | 4년 14일(1475일) |
문재인 | 2017.05.10 | 2022.05.09 | 5년 |
윤석열 | 2022.05.10 | 2025.04.04 | 2년 10개월 26일 (1061일) |
21대 대통령 | 2025.06.04 |
📍대통령 임기 변화의 역사
1948년 제헌헌법: 임기 4년, 1차 중임 가능, 국회 간선제.
1972년 유신헌법: 임기 6년, 중임 제한 없음, 통일주체국민회의 간선제.
1980년 헌법: 임기 7년, 단임제, 간선제.
1987년 9차 개헌: 임기 5년, 단임제, 국민 직선제.
📍최장 및 최단 임기 대통령
최장 임기: 박정희 대통령 (15년 10개월 9일)
최단 임기: 최규하 대통령 (8개월 10일)
권한대행 체제
대통령 임기 중 궐위 또는 사고로 인해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에는 국무총리, 법률이 정한 국무위원의 순서로 그 권한을 대행한다. 2025년 4월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이후에는 한덕수 국무총리가 권한대행을 수행할 예정이다.
1948년 제헌헌법: 임기 4년, 1차 중임 가능, 국회 간선제.
1972년 유신헌법: 임기 6년, 중임 제한 없음, 통일주체국민회의 간선제.
1980년 헌법: 임기 7년, 단임제, 간선제.
1987년 9차 개헌: 임기 5년, 단임제, 국민 직선제.
📍최장 및 최단 임기 대통령
최장 임기: 박정희 대통령 (15년 10개월 9일)
최단 임기: 최규하 대통령 (8개월 10일)
권한대행 체제
대통령 임기 중 궐위 또는 사고로 인해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에는 국무총리, 법률이 정한 국무위원의 순서로 그 권한을 대행한다. 2025년 4월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이후에는 한덕수 국무총리가 권한대행을 수행할 예정이다.
🔰모바일 신분증 발급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실물 주민등록증을 발급받은 사람이 희망하는 경우 신청할 수 있으며,
읍면동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본인 확인을 거친 후 신청하면 된다. 이 경우 발급 수수료는 무료이나, 휴대전화를 바꿀 경우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재발급받아야 한다.
IC주민등록증에 태그하면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발급받을 수 있다. 이 경우
휴대전화를 바꾸더라도 주민센터를 방문하지 않고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재발급받을 수 있어서 편리하나, IC칩 비용(5천원)을 부담해야 한다.
*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에 필요한 보안사항을 전자적으로 저장한 집적회로(IC, Integrated Circuit) 칩이 내장된 주민등록증
또한 유효기간이 지난 여권, 운전면허증도 이름, 사진 등의 확인이 된다면 신분증으로 인정되며,
정부24앱을 통한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 인증으로도 신분 확인 후 투표할 수 있습니다.
읍면동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본인 확인을 거친 후 신청하면 된다. 이 경우 발급 수수료는 무료이나, 휴대전화를 바꿀 경우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재발급받아야 한다.
IC주민등록증에 태그하면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발급받을 수 있다. 이 경우
휴대전화를 바꾸더라도 주민센터를 방문하지 않고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재발급받을 수 있어서 편리하나, IC칩 비용(5천원)을 부담해야 한다.
*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에 필요한 보안사항을 전자적으로 저장한 집적회로(IC, Integrated Circuit) 칩이 내장된 주민등록증
또한 유효기간이 지난 여권, 운전면허증도 이름, 사진 등의 확인이 된다면 신분증으로 인정되며,
정부24앱을 통한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 인증으로도 신분 확인 후 투표할 수 있습니다.

✅IC주민등록증으로 발급
주민센터 방문 후 IC주민등록증 발급 신청
IC주민등록증 수령 (방문 또는 등기)
‘대한민국 모바일 신분증’ 앱 설치
본인인증 후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IC주민등록증 휴대폰 뒷면 접촉
안면 인식 후 발급완료
✅QR코드로 발급
주민센터 방문 후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신청서 작성
‘대한민국 모바일 신분증’ 앱 설치 후 본인인증
주민등록증 제시 후 신청서 제출
공무원이 제시한 QR코드 스캔
안면 인식 후 발급완료
은행, 병원, 관공서, 편의점 등
실물 주민등록증이 사용이 가능한 모든 곳에서
편리하고 안전한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사용해보세요!
주민센터 방문 후 IC주민등록증 발급 신청
IC주민등록증 수령 (방문 또는 등기)
‘대한민국 모바일 신분증’ 앱 설치
본인인증 후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IC주민등록증 휴대폰 뒷면 접촉
안면 인식 후 발급완료
✅QR코드로 발급
주민센터 방문 후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신청서 작성
‘대한민국 모바일 신분증’ 앱 설치 후 본인인증
주민등록증 제시 후 신청서 제출
공무원이 제시한 QR코드 스캔
안면 인식 후 발급완료
은행, 병원, 관공서, 편의점 등
실물 주민등록증이 사용이 가능한 모든 곳에서
편리하고 안전한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사용해보세요!
👇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방법 👇
📌 방법 1. IC칩이 내장된 실물 주민등록증 신청·발급
→ 주민센터를 방문하지 않고, 본인의 휴대전화에 IC 주민등록증을
접촉하여 모바일 주민등록증 직접 발급·재발급 가능
※ 알아두세요!
✔ 주민등록증 최초 발급 대상자가 IC 주민등록증을 신청하는 경우, 무료 발급
✔ 기존의 실물 주민등록증을 IC 주민등록증으로 교체하기 위하여
재발급받는 경우, 발급 비용 1만원(‘06.11.1. 이전 발급증: 5천원)
✔ 3월 28일부터 정부24를 통해서도 IC 주민등록증 신청 가능
📌 방법 2. 실물(플라스틱) 주민등록증을 소지하고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용 QR 코드를 촬영
※ 알아두세요!
✔ 신청 즉시 발급가능, 무료 발급
✔ 휴대전화 교체 또는 앱 삭제 시 주민센터 재방문 필요
📌 방법 1. IC칩이 내장된 실물 주민등록증 신청·발급
→ 주민센터를 방문하지 않고, 본인의 휴대전화에 IC 주민등록증을
접촉하여 모바일 주민등록증 직접 발급·재발급 가능
※ 알아두세요!
✔ 주민등록증 최초 발급 대상자가 IC 주민등록증을 신청하는 경우, 무료 발급
✔ 기존의 실물 주민등록증을 IC 주민등록증으로 교체하기 위하여
재발급받는 경우, 발급 비용 1만원(‘06.11.1. 이전 발급증: 5천원)
✔ 3월 28일부터 정부24를 통해서도 IC 주민등록증 신청 가능
📌 방법 2. 실물(플라스틱) 주민등록증을 소지하고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용 QR 코드를 촬영
※ 알아두세요!
✔ 신청 즉시 발급가능, 무료 발급
✔ 휴대전화 교체 또는 앱 삭제 시 주민센터 재방문 필요
🔰카카오지갑 모바일 신분증
모바일 신분증 앱에서 운전면허증을 발급받습니다.
카카오 지갑 앱에서 “카드” > “더보기” > “모바일 신분증 연동” 메뉴로 이동합니다.
모바일 신분증 앱에서 제공하는 지침에 따라 연동을 완료합니다.
연동이 완료되면 카카오 지갑에서 로그인 시 본인확인, 쇼핑 결제 등 다양한 기능에 모바일 운전면허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 지갑 앱에서 “카드” > “더보기” > “모바일 신분증 연동” 메뉴로 이동합니다.
모바일 신분증 앱에서 제공하는 지침에 따라 연동을 완료합니다.
연동이 완료되면 카카오 지갑에서 로그인 시 본인확인, 쇼핑 결제 등 다양한 기능에 모바일 운전면허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

💡
🔰21대 대통령선거 모바일 신분증?
🔸포스팅 본문을 확인하세요.
🔰모바일 신분증 발급방법
🔹포스팅 본문을 확인하세요.
Title :
Series :
Author :
Genre :
Publisher :
Release Date :
Format :
Pages :
Source :
Rati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