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9일 kt 롤스터 T1|2025 LoL 월드 챔피언십 리그일정|롤드컵 결승전 경기 롤 중계

🔰2025 LoL 월드 챔피언십

1. 2025 롤드컵부터는 피어리스 드래프트(Fearless Draft) 룰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2. 8강과 4강 대진은 추첨으로 결정됩니다.
3. 8강, 4강, 그리고 결승전 모든 경기는 Bo5로 진행되며, 승리한 팀은 다음 라운드로 진출하고, 패배한 팀은 탈락합니다.

🔰티켓팅 예매

📅2025 롤드컵 리그일정
🔸플레이-인 스테이지: 2025년 10월 14일
🔸스위스 스테이지: 10월 15일 ~ 10월 25일
🔹녹아웃 스테이지 (8강): 10월 28일 ~ 10월 31일
🔹녹아웃 스테이지 (4강): 11월 1일 ~ 11월 2일
🔹결승: 2025년 11월 9일

🚩장소: 개최 도시 베이징, 상하이, 결승전 청두

🏷️티켓 예매처: LOL Esports
총상금: 500만 달러 (약 72억 원)
우승팀 상금: 100만 달러 (총상금의 20%, 약 14억 원)
준우승팀 상금: 80만 달러 (총상금의 16%, 약 11.5억 원)
3~4위팀 상금: 각각 40만 달러 (총상금의 8%, 약 5.7억 원)

📅롤드컵 대진표

🔸2025년 11월 09일 kt 롤스터 T1
🔸2025년 11월 02일 Top Esports T1
🔸2025년 11월 01일 젠지 kt 롤스터
🔸2025년 10월 31일 T1 Anyones Legend
🔸2025년 10월 30일 Top Esports G2 Esports
🔸2025년 10월 29일 kt 롤스터 CTBC Flying Oyster
🔸2025년 10월 28일 한화생명e스포츠 젠지
🔸2025년 10월 25일 Movistar KOI T1
🔸2025년 10월 25일 Bilibili Gaming Top Esports
🔸2025년 10월 25일 CTBC Flying Oyster FlyQuest
🔸2025년 10월 24일 Bilibili Gaming Vivo Keyd Stars
🔸2025년 10월 24일 100 Thieves T1
🔸2025년 10월 22일 G2 Esports FlyQuest
🔸2025년 10월 22일 CTBC Flying Oyster 한화생명e스포츠
🔸2025년 10월 19일 Vivo Keyd Stars PSG Talon
🔸2025년 10월 19일 Movistar KOI Fnatic
🔸2025년 10월 18일 한화생명e스포츠 100 Thieves
🔸2025년 10월 18일 G2 Esports Bilibili Gaming
🔸2025년 10월 18일 젠지 T1
🔸2025년 10월 18일 FlyQuest Team Secret Whales
🔸2025년 10월 17일 CTBC Flying Oyster Anyones Legend
🔸2025년 10월 17일 kt 롤스터 Top Esports
🔸2025년 10월 16일 FlyQuest Vivo Keyd Stars
🔸2025년 10월 16일 Team Secret Whales kt 롤스터
🔸2025년 10월 16일 G2 Esports Movistar KOI
🔸2025년 10월 16일 Top Esports 100 Thieves
🔸2025년 10월 16일 CTBC Flying Oyster T1
🔸2025년 10월 16일 젠지 Anyones Legend
🔸2025년 10월 16일 한화생명e스포츠 PSG Talon
🔸2025년 10월 16일 Bilibili Gaming Fnatic
🔸2025년 10월 14일 T1 Invictus Gaming
🔸2025년 10월 15일 Vivo Keyd Stars Team Secret Whales
🔸2025년 10월 15일 CTBC Flying Oyster Fnatic
🔸2025년 10월 15일 Movistar KOI kt 롤스터
🔸2025년 10월 15일 Bilibili Gaming 100 Thieves
🔸2025년 10월 15일 FlyQuest T1
🔸2025년 10월 15일 한화생명e스포츠 Anyones Legend
🔸2025년 10월 15일 G2 Esports Top Esports
🔸2025년 10월 15일 젠지 PSG Talon
🔸2025년 10월 14일 T1 Invictus Gaming
💡 티켓팅→ 연습 바로가기100%

🔸LCK(한국)
1시드 Gen.G, 2시드 Hanwha Life Esports, 3시드 KT Rolster, 4시드 T1
🔸LPL(중국)
1시드 Bilibili Gaming, 2시드 Anyone’s Legend, 3시드 Top Esports, 4시드 Invictus Gaming
🔹LEC(EMEA)
1시드 G2 Esports, 2시드 Movistar KOI, 3시드 Fnatic
🔹LTA(아메리카스)
1시드 FlyQuest, 2시드 Vivo Keyd Stars, 3시드 100 Thieves
🔹LCP(아시아 태평양)
1시드 CTBC Flying Oyster, 2시드 Team Secret Whales, 3시드 PSG Talon

🔰팀 로스터

🔸젠지
탑: Kiin (기인), 정글: Canyon (캐니언), 미드: Chovy (쵸비), 원딜: Ruler (룰러) , 서포터: Duro (듀로)
🔸한화생명 이스포츠

탑: Zeus (제우스), 정글: Peanut (피넛), 미드: Zeka (제카), 원딜: Viper (바이퍼), 서포터: Delight (딜라이트)
🔸KT롤스터

탑: PerfecT (퍼펙트), 정글: Cuzz (커즈), 미드: Bdd (비디디), 원딜: deokdam (덕담), 서포터: Way (웨이)
🔸T1
탑: Doran (도란), 정글: Oner (오너), 미드: Faker (페이커), 원딜: Gumayusi (구마유시), 서포터: Keria (케리아)

🔰플레이오프

2025년 롤드컵은 총 17개 팀이 참가하며, 크게 세 가지 단계로 나뉘어 진행됩니다.

🔸1. 플레이-인 스테이지 (Play-In Stage)

경기 방식: 단 한 경기만 진행되는 단판 싱글 엘리미네이션 방식입니다.
참가 팀: LCK(한국)의 4번 시드와 LPL(중국)의 4번 시드 팀이 맞붙습니다.
결과: 승리한 팀이 스위스 스테이지에 진출하며, 패배한 팀은 바로 탈락하게 됩니다.
특이사항: 작년까지 여러 팀이 참가했던 플레이-인 스테이지가 두 팀의 단판 대결로 간소화되었습니다.

🔸2. 스위스 스테이지 (Swiss Stage)

경기 방식: 16개 팀이 5라운드에 걸쳐 경기를 진행하는 스위스 시스템입니다.
진행 방식:
3승을 먼저 달성한 8개 팀이 녹아웃 스테이지에 진출합니다.
3패를 먼저 기록한 팀은 탈락합니다.
각 라운드마다 승패가 같은 팀들끼리 대결하게 됩니다.
1라운드 경기는 Bo1(단판제)로 진행되며, 같은 지역 팀끼리는 만나지 않습니다.
2라운드부터는 Bo3(3전 2선승제) 경기가 진행됩니다.
티어 분배: 첫 라운드 대진은 시드에 따라 세 가지 티어로 나뉘어 진행됩니다.
1티어 (5팀): 각 지역 1번 시드
2티어 (6팀): 각 지역 2번 시드 + 플레이-인 승자 지역의 3번 시드
3티어 (5팀): 나머지 3번 시드 + 플레이-인 승자

🔸3. 녹아웃 스테이지 (Knockout Stage)

경기 방식: 스위스 스테이지에서 올라온 8개 팀이 Bo5(5전 3선승제) 단판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으로 대결합니다.
대진: 8강과 4강 대진은 추첨으로 결정됩니다.
스위스 스테이지에서 3전 전승을 기록한 팀은 3승 2패로 올라온 팀과 맞붙게 됩니다.
경기: 8강, 4강, 그리고 결승전으로 이루어집니다. 모든 경기는 Bo5로 진행되며, 승리한 팀은 다음 라운드로 진출하고, 패배한 팀은 탈락합니다.

🔰SNS

🔰해설·아나운서·분석데스크

중계진 캐스터: 성승헌, 전용준 
해설위원: ‘클라우드 템플러 클템 ‘ 이현우 ‘노페’ 정노철 ‘포니’ 임주완 ‘꼬꼬갓’ 고수진
분석 데스크: ‘캡틴잭’ 강형우 ‘헬리오스’ 신동진 임주완 고수진
아나운서  윤수빈 배혜지 이은빈

🔰유튜브

🔰해설·아나운서·분석데스크

중계진 캐스터: 성승헌, 전용준 
해설위원: ‘클라우드 템플러 클템 ‘ 이현우 ‘노페’ 정노철 ‘포니’ 임주완 ‘꼬꼬갓’ 고수진
분석 데스크: ‘캡틴잭’ 강형우 ‘헬리오스’ 신동진 임주완 고수진
아나운서  윤수빈 배혜지 이은빈

⚔️ 2025 결승전 관전 포인트

2025년 11월 9일, e스포츠의 역사가 새롭게 쓰일 중국 청두의 동안호 스포츠파크 다목적 체육관에서 ‘2025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롤드컵)’의 대미를 장식할 결승전이 펼쳐집니다. 15주년을 맞이한 롤드컵의 마지막 무대는 그 어떤 시나리오보다 극적인 ‘LCK 내전’, T1과 KT 롤스터의 ‘통신사 더비’로 확정되었습니다.
2022년 이후 3년 만에 성사된 LCK 결승전이자, ‘디펜딩 챔피언’ T1의 험난했던 여정과 ‘언더독의 반란’을 일으킨 KT 롤스터의 기적 같은 행보가 정면으로 충돌하는 무대입니다. 특히 이번 결승은 롤드컵 역사상 처음으로 ‘피어리스 드래프트(Fearless Draft)’가 적용되는 5전 3선승제로, 두 팀의 전략적 깊이와 챔피언 폭이 승부를 가를 핵심 변수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 ‘디펜딩 챔피언’ T1, 험난한 여정 끝에 증명한 저력

T1에게 2025년은 시련의 해였습니다. LCK 시즌 내내 굴곡을 겪으며 롤드컵 4번 시드로 간신히 막차에 탑승했습니다. 플레이-인 스테이지부터 시작해야 했던 T1의 여정은 ‘디펜딩 챔피언’의 체면과는 거리가 멀어 보였습니다.
하지만 ‘가을의 T1’은 달랐습니다. 스위스 스테이지를 3승 2패로 통과한 T1은 8강에서 LPL의 AL(Anyone’s Legend)을 상대로 3:2 진땀승을 거두며 위기를 넘겼습니다. 그리고 4강, 강력한 우승 후보로 꼽혔던 LPL의 TES(Top Esports)를 만나자 T1은 ‘LPL 킬러’ 본능을 각성시켰습니다. 압도적인 경기력으로 3:0 셧아웃 승리를 거두며 결승에 선착, 왜 그들이 롤드컵의 주인공인지를 다시 한번 증명했습니다.

🌊 ‘언더독의 반란’ KT 롤스터, 낭만을 현실로 만들다

KT 롤스터의 2025 롤드컵 여정은 한 편의 드라마입니다. LCK 3번 시드로 참가해 큰 기대를 받지 못했지만, 스위스 스테이지에서 3전 전승을 거두며 LCK 팀 중 가장 먼저 8강에 진출하는 이변을 일으켰습니다.
그들의 기세는 토너먼트에서 더욱 불타올랐습니다. 8강에서 CFO(CTBC Flying Oyster)를 3:0으로 가볍게 제압한 KT는 4강에서 이번 대회 ‘절대 1강’이자 LCK 1번 시드인 젠지(Gen.G)를 만났습니다. 모두의 예상을 뒤엎고 KT는 젠지를 3:1로 격파, 창단 이래 최초로 롤드컵 결승 무대를 밟는 쾌거를 이루었습니다. ‘언더독의 반란’이자 ‘낭만’ 그 자체였습니다.

⚔️ 2025 결승전 관전 포인트
1. 피어리스 드래프트: 챔피언 폭이 승패를 가른다
이번 결승은 롤드컵 최초로 ‘피어리스 드래프트’ 룰이 적용됩니다. 한 번 사용한 챔피언은 해당 시리즈에서 다시 사용할 수 없는 이 룰은, 특히 서로를 너무나 잘 아는 T1과 KT에게 치명적인 변수입니다. ‘페이커’ 이상혁과 ‘비디디’ 곽보성, ‘제우스’ 최우제와 ‘퍼펙트’ 이승민 등 각 라인 선수들의 챔피언 폭과 현 메타(용 중심의 교전)에 대한 해석이 밴픽 단계부터 승부를 결정지을 것입니다.

2. ‘천적’ T1 vs ‘기세’의 KT
두 팀의 2025년 상대 전적은 T1의 일방적인 우위입니다. T1은 LCK 정규 시즌 1, 2라운드와 LCK 컵에서 KT를 모두 격파하며 ‘천적’ 관계를 공고히 했습니다. 하지만 T1의 ‘오너’ 문현준 선수가 “지금은 두 팀 모두 메타 해석을 마쳤고 기세가 좋아 당일 컨디션이 승부를 가를 것”이라고 말했듯, 과거의 데이터가 무의미할 만큼 KT의 현재 기세는 매섭습니다.

Similar Posts